기후동행카드는 월 62,000원에 서울시 대중교통을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정기교통권입니다. 1월 부터 시범기간이 시작이 되며 모바일 티머니나 실물카드를 발급받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및 판매처, 이용구간과 금액별로 이용가능한 대중교통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의 지하철과 버스, 공용자전거인 따릉이를 월1회 충전으로 30일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교통카드 입니다. 현재는 서울시에서부터 시범 사업을 통하여 시작하고 점차 사용가능지역이 늘어날것입니다.
서울시는 2024년 1월 27일 부터 ~ 6월 30일 까지 시범기간을 가지고 사업을 시행합니다. 카드 판매는 1월 23일부터 시작이 되고 사용은 1월 27일 부터 가능합니다.
- 시범기간 : 2024년 1월 27일 ~ 6월 30일
- 판매기간 : 2024년 1월 23일 부터
또한 1월 26일까지 모바일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을 완료하시는 분을 매일 1만명씩 선정하여 커피쿠폰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자세한 이벤트는 아래 바로가기로 확인해 보세요.
기후동행카드는 모바일 티머니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와 실물카드로 사용이 가능하며 각각 신청및 발급 방법이 다르니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고 원하시는 카드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카드 발급
모바일 카드는 ‘모바일 티머니’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앱을 다운로드 받으시고 손쉽게 발급 및 충전을 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단, 모바일 카드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점 꼭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모바일 티머니’ 앱을 다운로드 합니다.
2. 회원가입을 합니다
3.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을 합니다.
✅ 결제수단은 현재는 계좌이체만 지원이 되며, 체크카드, 신용카드도 사용 가능할 예정입니다.
실물 카드 발급
아이폰 이용자 및 모바일 카드 발급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은 실물 카드를 발급 받아 사용이 가능합니다. 실물 카드 구매처 및 등록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구매처 : 서울 교통공사 (지하철 1~8호선) 고객안전실 및 역사 인근 편의점에서 3,000원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2. 등록방법 :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신 후 카드 뒷면에 있는 QR코드를 통해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서 등록을 합니다.
3. 충전방법 : 지하철 역사에 있는 무인충전기에서 충전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 결제수단은 현금결제이며 3천원의 카드 구매 비용이 추가됩니다.
✅ 카드 구매 후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서 등록하셔야 합니다.
✅ 무인충전기는 지하철 1~8호선,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사용개시일은 모바일 카드 사용자는 모바일앱에서 충전시에 지정할 수 있으며, 실물 카드로 구입하신분들은 역사 내 단말기에서 충전하실 때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단 충전일의 5일이내에 선택이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방법 및 환불
발급 받은 기후동행카드는 사용개시일로 부터 30일간 사용이 가능하며 이용방법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사용개시일은 충전하는 당일을 포함하여 5일 이내에서 선택이 가능합니다. 또한 재충전은 만료 5일전부터 가능하며 자동으로 30일이 추가되어 연장이 됩니다.
지하철, 버스 : 모바일 또는 실물 카드를 태그하여 승, 하차하시면되며 하차할때 태그를 하지않은 회수가 2회가 되면 직전 승차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사용이 정지되니 꼭 하차할때 태그를 하시기바랍니다.
따릉이 : ‘티머니GO’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번호를 등록하면 기후동행카드 사용기간 동안 따릉이 1시간 이용권이 제공됩니다.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 보세요.
- ‘기후동행카드’ 구매
- ‘티머니GO’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 ‘기후동행카드’ 카드번호 등록
- ‘티머니GO’앱-‘자전거’탭
- 1시간 이용권 제공
✅ 실물카드는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등록된 카드에 한해 따릉이 1시간 이용권 생성 가능합니다.
👉 따릉이 등록하기
환불은 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 사용기간 만료전 환불가능하며 카드 충전금에서 실제 사용액과 수수료 500원을 제외하고 환불 받을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구간
서울지역 지하철과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마을버스, 따릉이를 30일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지만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과 광역/공항버스 및 타 지역 면허버스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용가능한 구간은 아래 사진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버스의 경우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하차하더라도 사용가능합니다.
✅ 지하철의 경우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서울지역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사용불가합니다.
❗ 예외적으로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하여도 아래 구간에서는 하차하는 것은 가능합니다.(승차는 불가합니다.)
- 4호선(별내별가람 ~ 진접)
- 5호선(미사 ~ 하남검단산)
- 7호선(석남 ~ 까치울)
- 김포골드라인(전구간)
- 진접선(전구간)
아직까지 서울시에서만 시행되고 있고 점차 경기, 인천으로 확대되어간다고 하니 시행지역이 늘어나면 서울지역 외 역에서도 승차가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금액
따릉이를 이용하느냐 하지 않느냐로 30일간 이용금액이 달라집니다. 지하철과 버스만을 이용하려면 월 62,000원에 이용이 가능하고, 따릉이까지 이용하려면 월 65,000원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 지하철, 버스만 이용 : 월 62,000원
✅ 지하철, 버스 + 따릉이 이용 : 월 62,000원
월 62,000원이면 무제한으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실제로 내가 한달에 얼마나 교통비로 사용하는지 확인하시고 발급받으시는게 좋습니다. 무턱대고 싼거 같아서 이용하지만 실제 본인의 한달 교통비가 그에 미치지 못한다면 매번 남은 금액을 환불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깁니다.
저같은 경우도 출퇴근시에 사용하는 금액을 몇달 평균을 내어보니 60,000원 ~ 62,000원 정도로 사용하였습니다. 저는 출퇴근시 지하철만 이용하기때문에 꼭 새로이 발급받지 않고 기존에 사용하던 교통카드로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하지만 평소에 출퇴근 뿐만아니라 중간중간 대중교통을 많이 사용하신다면 훨씬 이득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주말에도 대중교통을 이용하신다면 이득은 더욱 커질거라고 생각됩니다.
이런분들이 이용하세요
앞서 이용금액에서도 말씀 드렸지만 ‘무제한이니 나도 사용해야지’라고 생각하시면 그냥 일반 교통카드를 쓰는거보다 손해볼 수 도 있습니다.(환불 받으면 되지만 매달 하는것도 귀찮은일이죠) 그래서 어떤 분들이 쓰면좋은지 생각해 봤습니다.
- 서울에서 거주하시고 직장도 서울이신분이 가장 좋은 케이스입니다.
- 월 대중교통으로 사용하는 금액이 62,000원이 넘으시는 분.
- 따릉이를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면 더욱 좋습니다. 지하철 역이나 버스 정거장이 목적지에서 살짝 멀다면 따릉이를 이용하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마치며
이상으로 월 62,000원에 서울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의 신청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아직은 서울시만 시행하지만 점차 경기, 인천으로도 확대 된다고 하니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시는분들은 이용금액과 이용이 가능한 구간을 잘 확인하시고 발급해서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